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이찬원성금
- 첫만남이용권 지원금액과 지급방법
- 국내아이들과가볼만한곳
- 군항제셔틀버스
- 군항제주차
- 군항제대중교통
- 산불성금릴레이
- 군항제버스
- 의성산불
- 한국가스공사캐시백
- 겨울철난방비절감
- 바니와오빠들
- 아이유성금
- 탄소중립포인트에너지
- nct마크
- 탄소포인트 지급방법
- 알뜰교통카드
- nct해찬
- 첫만남이용권 사용기간과 사용방법
- 난방비절약가전
- 반희진
- 에너지절약꿀팁
- 긴급생계비대출
- 경기도청소년교통비지원
- 연예인성금
- 산불대기업성금
- 탄소포인트 참여대상
- 황재열
- 산불성금
- 여행가는달혜택
- Today
- Total
달달한 부동산, 경제 꿀팁
14. 피자헛과 KFC에서는 펩시콜라만 판다? 펩시코(PepsiCo) 본문
펩시코(PepsiCo)
펩시코는 누구나 다 아는 펩시콜라로 유명한 다국적 음료, 스낵, 식품 회사입니다. 뉴욕에 본사를 두고 있고 200개 이상의 국가와 지역에 사업장을 가지고 있고 연간 매출이 700억 달러(약 91조 원)가 넘는 세계 최대의 식음료 회사입니다. 펩시코는 여러 인수 합병을 거쳐 왔습니다. 1965년 펩시콜라와 프리토-레이 회사가 합병하여 현재의 펩시코가 되었습니다. 처음 펩시콜라를 만든 사람은 미국의 약사 출신인 케일럽 브래드햄입니다. 설탕, 물, 캐러멜, 레몬, 오일과 다른 천연 첨가물의 혼합물로 만들어진 '브래드의 음료'라고 불리는 청량음료를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1902년에 펩시콜라 법인을 세우고 음료의 이름을 '펩시콜라'로 바꾸었습니다. 펩시콜라는 파산과 인수를 거듭해 현대 펩시콜라의 진정한 설립자라고 불리는 찰스 G. 거스에게 인수되고 마침내 성공을 거두게 됩니다. 펩시코의 전신인 프리토-레이는 토리토스, 썬칩, 치토스로 유명한 스낵 제조 회사입니다. 1965년 펩시콜라와 프리토-레이가 합병한 뒤 트로피카나, 게토레이, 퀘이커를 포함한 많은 회사를 인수하면서 식음료 업계에서 성장해 왔습니다. 펩시코는 현재 시가총액 2,542억 달러(약 330조 원)로 미국 주식시장 34위에 랭크되어 있습니다.
펩시코가 성장할 수 있었던 요인
현대 펩시콜라의 진정한 설립자라고 불리는 찰스 G. 거스는 1931년 대공황으로 인해 재정적으로 힘든 내셔널 펩시콜라를 인수하면서 코카콜라와 경쟁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회사의 성공은 공격적인 마케팅이라 판단하고 회사에 광고 경영진을 고용하며 마케팅과 제품 개발에 힘썼습니다. 'pepsi-cola hit the spot'이라는 슬로건을 건 마케팅과 최초로 12온스 병을 개발하여 성공을 거두게 됩니다. 당시에는 0.65온스 병에 팔던 콜라를 비슷한 가격에 양을 두 배정도 더 주는 마케팅으로 매출이 두 배나 상승하게 되었습니다. 'pepsi-cola hit the spot' 외에 'For the Love of It', 프리토레이의 'Do Us a Flavor', 게토레이의 'Be Like Mike' 등의 캠페인이 차례로 인기를 얻었고 2021년 UEFA와 다년간 파트너십 계약을 하면서 브랜드 강화와 매출 상승에 도움이 되었습니다.
피자헛과 KFC에서는 펩시콜라만 판다?
결론은 반은 맞고 반은 틀립니다. 펩시코는 1977년에 피자헛을 인수했고 1986년 KFC를 인수했습니다. 이 브랜드는 펩시코의 자회사인 트리콘 글로벌 레스토랑 산하에 있었고 트리콘 글로벌 레스토랑은 1997년 얌브랜드로 독립했습니다. 얌브랜드는 세계적인 레스토랑 회사로 타코벨, 롱존실버스, 윙스트리트, A&W 등의 브랜드도 소유하고 있습니다. 펩시코는 얌브랜드의 청량음료 및 기타 음료의 주요 공급업체가 되었습니다. 실제로 초기에는 피자헛과 KFC에서는 펩시, 펩시 다이어트, 마운틴듀 등만 제공되었습니다. 얌브랜드는 단일 공급업체와 협력함으로써 더 나은 가격과 더 유리한 공급 조건을 가질 수 있었고 이것이 프랜차이즈의 비용 절감과 수익성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일부 국가의 피자헛과 KFC에서는 펩시 대신 코카콜라 제품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그것은 지역 시장 선호도, 제품 및 공급망 물류의 가용성, 지역 음료 유통 계약 등 여러 요인에 따른 것입니다. 코카콜라가 강한 일부 국가에서는 현지 소비자의 선호에 부응하기 위해 코카콜라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 더 나을 수 있고 그 지역에서는 펩시콜라의 유통이 훨씬 더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들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16. 미국 1위 보험사 유나이티드 헬스 그룹(UNH, United Health Group) (0) | 2023.04.26 |
---|---|
15. 에르메스는 루이비통에 인수될뻔했다. (0) | 2023.04.25 |
13. 쉘(Shell)의 로고가 조개 껍데기인 이유는? (0) | 2023.04.21 |
12. 린데(Linde PLC) 세계 1등 가스회사 (0) | 2023.04.20 |
11.나이키(Nike)는 승리의 여신 니케의 날개이다. (0) | 2023.04.19 |